연기(4)
-
< 배우의 초심 찾기 > 연기, 왜 하세요?
배우의 꿈을 가지고 계신 여러분, 혹시 지금 당신의 초심이 흐려졌나요? 몸과 마음이 게을러져서 다시 마인드셋이 필요한가요? 그럼 이 질문에 진지하게 답해 보시겠어요? 연기, 왜 하세요? 여러분은 제목에 한 번에 대답할 수 있나요? 아마 난감해하시는 분들이 몇 분 계실겁니다. 저 역시 굉장히 난감해하던 사람 중 한 명 이었거든요. 저 질문이 어려운 이유는 3가지 정도로 추려볼 수 있는데요. 1) 왜 하는지 모른다. (생각해 보지 않았다.) 2) 생각해 본 적은 있으나 정리를 하지 않았다. 3) 이유를 말하기 부끄럽거나, 난감하다. 사실 전 이 3가지를 모두 겪었었습니다. 그래서 여러분의 마음을 저도 안답니다..ㅎㅎ 그래서 오늘은, 제가 저 이유를 정리할 수 있었던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해요. 사실 사..
2020.09.07 -
< 배우 되는 법 #2 > 독백, 10가지 분석법, 정서 기억 훈련 (정서 끌어오기)
독백을, 분석을 하기 전에 [ 배우, 연기, 훈련 ]에 대해서 먼저 생각해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당신이 지금 정체되었다면, 이것들이 무엇인지, 무엇이길래 내가 그것을 왜 하고 있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https://gopride21.tistory.com/19 배우란? 연기란? 훈련이란? (+ 정체된 당신에게) 당신이 되고 싶은 것, 배우. 당신이 하고 싶은 것, 연기. 그것들을 위해서 해야하는 것, 훈련. 이 3가지를 설명해보라고 했을 때, 정확하게 대답할 수 있는 배우는 몇 명이나 될까요? 이 3가지가 무 gopride21.tistory.com 배우는 작가의 이야기를 관객에게 전달하는 매개체이자, 작품의 일원이죠. 그렇담 작품을 하기 ..
2020.09.06 -
< 효율적인 연습방법 > 시간을 똑똑하게 사용하라! 배우훈련, 연기연습
#오디션/연습할 때 방식, 마인드, 태도 * 오디션에서 연기하기 전에, 5-3-1을 활용하여 본인의 시간을 만들어서 집중하기. * 잘 모르겠을 때는, how를 3가지로 바꿔서 말해보기! * 내가 진행중인 작품이라고 생각하고 대본과 역할을 대하기 * 연기적으로 가질 습관과 버릴 습관을 구분하기 >> 연기적으로 더 좋은 환경 만들기 >> 일상 속에서도 연기에 써먹을 수 있는 것을 찾아내고 적용하기 * 자꾸 "왜"를 붙여서 파고 또 파기 >> 끝까지 했을 때, 그것이 본인의 연기적 사고력. * 생각을 곱씹을수록 좋다. 첫번 째 분석은 90%가 한다. 3-4번째 것이 좋다. ( 정당성은 지키기 ) * 독백 3가지 분석은 기본! >> 숨쉬기와 같다!!! * 감독님이 "연기란 무엇인가?"라고 묻는 다면 간단명료하게..
2020.09.04 -
배우의 덕목 - 배우가 가져야 할 덕목은 무엇일까?
배우에게 필요한 덕목은 무엇일까요?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겠지만, 가장 큰 하나를 뽑자면 저는 믿음이라고 봅니다. 일단 첫 번째로 자기 자신을 믿어야 하죠. 자기가 해낼 수 있다는 것을 믿어야 무엇이든 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대본 속 주어진 상황을 믿어야죠. 그 일이 지금 현재 일어나고 있음을, 정말로 믿어야 자연스러운 연기가 나오겠죠. 세 번째는, 상대배우를 믿어야 합니다. 상대방이 어떻게 표현할 지 다 알고 있어야한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맡은 역할이 있고, 상대배우가 있다면, 그와 관계를 가지고, 교감을 해야합니다. 하지만 믿음 없이 교감은 성립되지 않습니다. 서로 무엇도 교류할 수 없죠. 네 번째는, 함께(또는 이끌어주는)하는 사람 ( 스태프, 감독 등 ) 위의 이야기와 비슷한데요. 감독님을 ..
2020.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