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0. 22. 11:18ㆍ연기 칼럼 Acting coulmn
혹시, 자기계발(또는 자기관리)을 하고 싶은데 작심 3일 때문에 고민이신가요?
일주일을 채 못가거나, 한 달을 못넘기고 어느새 예전의 일상으로 돌아와있나요?
이 글을 잘 찾아오셨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지속의 비밀은 바로 그 일 자체를 보상화하는 것입니다.
그럼 지속하는게 아니라, 지속되게 되어 있죠.
하는 것과 되는 것의 차이.
되게 하는 시스템.
자, 가실까요!
시작이 반이라는 말 있죠?
맞아요, 그럼 나머지 반은 뭘까요?
"지속" 입니다.
시작+지속 = 최종 성취
그리고 시작부터 성취까지 사이사이엔 작은 성취들이 또 자리잡고 있죠.
마치 마리오 게임 처럼요!
중요한 건, 최종 성취와 작은 성취만 바라보고서는 지속이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물론 최종 성취를 위해서는 목표가 확고한 것이 가장 먼저입니다. 그리고 작은 성취가 또 행동하게 하고 그렇게 나아간다는 사실도 진리입니다.
하지만 작은 성취를 위해서는 일단 "행동" 해야 하죠.
그리고 우린 그 "행동"이 너무 하기 싫고, 귀찮고, 억지로 하는게 지겨워서 지속을 그만두게 되는 것이 문제죠.
그럼, 그 "행동"이 너무 하고 싶고, 재밌고, 시키지 않아도 자발적으로 하게 된다면 어떨까요?
그 일을 즐기게 되는 겁니다.
즐거운데 그만 둘 이유가 없으며,
즐겁기 때문에 성과는 배가 되죠.
그리고, 즐기는 자를 이기는 자는 없으니 자꾸자꾸 성취의 맛을 보며 최종 성취로 가게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 열심히 공부하고 나면 또는 직장에서 열심히 일하고 오면, 자신을 위해 해주는 보상이 하나씩 있죠?
맛있는 저녁먹기, 재밌는 게임하기, 드라마 영화 보기 등등 말이에요.
그것들은 꼭 해야하기 때문에 하나요?
누가 시켜서 억지로 매일매일 하는 건가요?
아니죠! 그냥 내가 즐거워서 매일매일 하게 되는 것이잖아요.
이게 핵심입니다!!!
자기계발 / 자기관리는 즐겁게, 하게 되는 것일 때 그 진가를 발휘합니다.]
지속의 비밀은, 의지력이나 동기부여에 있는 것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심리학적으로 동기부여는 최대 14일까지가 한계입니다.
그리고 인간의 의지력 또한 배터리와 같아서, 방전되는 순간 끝입니다.
그러니 의지만으로는 당연히 지속할 수 없고, 동기부여도 14일마다 해주지 않는 한 지속할 수 없다는 것이죠.
심지어 동기부여는 14일마다, 첫 동기와 같은 수준의 큰 동기부여를 해주어야하는데,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지속의 비밀이 뭔데???
게임에는, 드라마 시청에는, 맛있는 야식 먹기에는, "보상"에는 의지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저 하고 싶기에 하게 되는 것이죠.
핵심은 의무형 행동이 아닌 보상형 행동이라는 데에 있습니다.
"행동 자체가 보상, 행동 자체가 목표가 되는 것"
지속의 비결은 바로 이겁니다.
그 행동이 목표를 위한 수단이 아니라,
그 행동 자체가 목표 (즐겁고 싶은 마음을 채워주는)가 되면 된다는 겁니다.
어떻게?
그 '맛'을 찾는 것이 관건입니다. >> 맛 = 행위 자체가 주는 즐거움
그러니까 완전 단순하게 말하면, 그걸 하는 맛이 있어야한다는 겁니다.
그걸로 얻는 성취보다도 전에, 그 행위를 하는 것 자체의 맛! 말입니다.
예를 들어, 최근 핫한 김유진 변호사의 책 [ 나의 하루는 4시 30분에 시작된다 ] 이것을 읽는다고 해볼게요.
최종성취 (이것을 통해 얻고 싶은 것, 목표)
: 나만의 시간을 확보하고 하루를 만족스럽게 보내는 것
작은 성취 (목표를 위해 행동하며 중간중간에 얻는 것)
: 실천(평소보다 2시간 일찍일어나기)했을 때의 뿌듯함을 느껴보는 것.
행위 자체의 즐거움 (책을 읽는 것 자체가 주는 즐거움)
: 책을 읽으며 공감하는 것.
실천할 계획을 세워보는 것.
실천했을 때를 상상하며 희망찬 마음을 느끼는 것.
행위 자체의 즐거움(맛)을 찾는 것이 관건입니다.
그렇다면 힘 들일 필요 없이, 즐길 수 있을 겁니다.
원초적 목표는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구요.
여러분, 억지로 하는 게 아니라 자연스럽게 되는 자기계발/자기관리.
이렇게 쉽게 할 수도 있습니다!
지속의 비밀은 속편도 제작될 것입니다. 속편에는 뇌과학적으로 접근할 테니, 더욱 확실하고 효과가 뛰어날 것입니다.
기대해 주세요!
'연기 칼럼 Acting coulm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시련을 이기는 현실적인 방법 >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역발상 (0) | 2020.09.22 |
---|---|
< 배우의 초심 찾기 > 연기, 왜 하세요? (0) | 2020.09.07 |
< 배우 되는 법 #2 > 독백, 10가지 분석법, 정서 기억 훈련 (정서 끌어오기) (0) | 2020.09.06 |
< 배우 되는 법 #1 > 배우란? 연기란? 훈련이란? (+ 정체된 당신에게) (3) | 2020.09.05 |
< 효율적인 연습방법 > 시간을 똑똑하게 사용하라! 배우훈련, 연기연습 (0) | 2020.09.04 |